-
환경국가표준(KS) 183종 국제표준 일치화법률 2024. 1. 20. 03:28
국가표준(KS)?
정확성, 합리성 및 국제성을
높이기 위해
국가적으로 공인된
과학기술적 공공기준을 일컬으며,
국제표준(ISO)은
국가 간 물질이나 서비스의 교환을 위하여
국제적으로 공인된 표준
[환경표준심의회]
산업표준화법 제4조 산업표준심의회 규정에 따라
환경분야 국가표준(KS) 제·개정과
국제표준화기구(ISO)에서
발간된 표준들에 대한 대응 업무를 수행하고자
2개 기술심의회와 16개 전문위원회를 구성
<기술심의회>
일반환경 및
생활환경 2개의 기술심의회를 운영 중,
위원으로는 기술심의회 회장 1명을 포함,
15명 이내의 당연직 위원과 위촉 위원으로 구성,
회장은 기술심의회 위원 중에서
서로 투표하여 선출
<전문위원회>
표준을 보다 세부적이고 전문적인
조사·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
16개 분야로 나누어 운영하고
각 전문위원회는 표준담당관이 주재하며,
분야별 20명 이내의 산업, 학계, 연구기관 등의
소속된 전문가들로 구성
<제정된 표준은>
5년마다 검토하여 적부확인을 하고
분야별 16개 전문위원회 기술검토
→ 기술심의회 적부심의
→ 표준회의를 거쳐 고시
표준 개정과 개정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
표준개발협력기관을 지정하고,
국제표준 대응협력을 위해 국제표준화기구
국내 간사기관을 지정하고 있음
[환경분야 국가표준(KS) 제정 절차]
개인, 기업 및 유관기관 등
이해관계인이 표준안을 작성및 신청
관련 분야의 의견을 수렴
전문위원회, 기술심의회
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이 관보 및
인터넷 홈페이지에 고시
>>환경분야 국가표준(KS)으로 확정
[환경분야 국가표준]
(KS, Korean Industrial Standards)
「산업표준화법」에 따라 산업표준심의회를 거쳐
국립환경과학원장이 고시함으로써
확정되는 국가표준
환경부장관은 「산업표준화법」에 근거한 권한의 위임·위탁에 따라
환경분야 국가표준의 제정·개정·폐지 및
확인하는 작업을 수행
[국제표준화기구]
(ISO,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)
환경·기술·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
세계 상호 간의 협력을 위해 1946년에 설립한
국제기구
현재 165개국이 가입되어 있으며 산하에
기술위원회 (TC, Technical Committee),
분과위원회(SC, Sub-committee)를 두고
각 국가의 표준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여
표준개발을 지원
[고유 표준]
국내 기술 기반으로 국내에서 개발한 표준으로
효력범위는 국내에 한정
[국제일치표준]
국제표준화기구에서 발간한 국제표준을
번역하여
국내 산업표준으로 고시한 표준으로
효력범위는 국내외를 모두 포함중국산 이차전지 양극재 특허권 침해조사
[스마트폰용 이차전지 조사] 스마트폰을 중국에서 제조하여 국내로 공급하는 중국기업 1곳과 이를 수입‧판매하는 국내기업 1곳을 대상으로 일본기업 ㈜반도체에너지연구소-가부시키가이샤 한
law-tk2.tistory.com
지방간 비타민 D로 회복 연구결과
지비타민 D가 자연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비알콜성지방간 (Non-alcoholic Fatty Liver Disease, NAFLD) 생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최초로 규명해 전문학술지에 발표
law-tk2.tistory.com
'법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립줄기세포재생센터 GMP 제조시설 (8) 2024.01.26 NATO 와 유럽연합 (8) 2024.01.23 세탁세제 의류용 표백제 비교결과 (4) 2024.01.18 라오스 골든트라이앵글 여행금지 (8) 2024.01.15 장애인연금 선정기준액과 신청방법 (12) 2024.01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