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수족구병 환자 약 2.3배 증가주식 2024. 7. 2. 02:50
수족구병 환자 약 2.3배 증가
수족구병은 기온이 따뜻해지는
6월~7월 사이에 많이 발생.
감염은 손 등을 통한 분변-구강 감염뿐만 아니라,
환자의 침, 가래,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
비말감염,
피부의 물집에 직접 접촉을 통해서도
감염이 가능하며,
환자가 만진 오염된 물건을 만져서
전염되는 경우도 많아
개인위생이 취약하고 집단생활을 많이 하는영유아(0~6세)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성
[수족구병(Hand, foot and mouth disease)]
주로 5세 이하 영유아의
콕사키바이러스,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
의해 발생하는 감염병.콕사키바이러스 A16형은
수족구병을 일으키는 매우 일반적인 원인균.
엔테로바이러스 71형은아시아에서 여러 번의 대규모 수족구병 발병을 일으킴.
드물게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
면역체계가 아직 발달되지 않은 어린 영아의 경우,
엔테로바이러스 71형이 원인인 경우
합병증의 발생이 더 높다.
뇌간 뇌척수염, 뇌염이나
회색질척수염와 같은 마비증상,
신경성 폐부종, 폐출혈, 심근염, 심장막염,
쇼크 및 급속한 사망 등을 초래
전파경로)
직접접촉이나 비말을 통해 사람 간 전파
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장에서도
전파 가능
전파의 위험이 높은 장소- 가정
(감염자가 있는 경우),
보육시설, 놀이터, 병원, 여름캠프 등
많은 인원이 모이는 장소
잠복기)
3-7일
증상)
전신증상 : 발열, 식욕감소, 무력감
위장증상 : 설사, 구토
발진/수포(물집): 주로 입, 손, 발, 영유아의 경우
기저귀가 닿은 부위
치명률)
일반적으로 0.1% 미만이나
엔테로바이러스 71형에 감염된 경우
뇌간 뇌척수염, 신경원성 폐부종, 폐출혈 등
합병증이 동반될 경우
치명률이 높음<일본>
최근 10년(‘14~’24) 매년 19(5.5.~5.11.) 주 차부터 증가 경향
24년도 주별 발생 현황 관찰 결과
15주차부터 전체 환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.
23주(6.2.~6.8.)차 총 환자수 12,037명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과민성 장 증후군 우리쌀 유산균으로 (0) 2024.07.10 미백 및 주름개선 효능 갈대 뿌리 (0) 2024.07.06 가덕도신공항 설계 당선작 (0) 2024.06.30 부가가치세 7월부터 변경 (2) 2024.06.26 세계은행 24년 세계경제 성장률 (1) 2024.06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