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당뇨와 고혈압은 치매 위험인자주식 2024. 9. 24. 01:23
당뇨와 고혈압은 치매 위험인자
치매는 알츠하이머병 지표
(베타 아밀로이드, 타우 단백질의 축적과 뇌 해마 위축)와
혈관성치매 지표(대뇌 백질변성) 등의 병리적 특징 변화가
인지기능 저하로 이어지는 질병으로
당뇨와 고혈압은 대표적인 치매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.
-베타 아밀로이드 :
알츠하이머치매 환자의 뇌에서
특이적으로 관찰되는 병리 소견인 노인성 신경반
(senile plaque)의 주성분이자 치매 유발 물질
-타우 : 알츠하이머치매 환자의 뇌에서 특이적으로 관찰되는
병리 소견인 신경섬유다발(neurofibrillary tangle)의 주성분으로
신경세포 내 축적되어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
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음.
-해마 위축 : 해마(hippocampus)는
기억과 학습을 관장하는 뇌 부위로서 인지기능저하와 관련이 높으며,
치매환자는 정도가 심할 수록 해마 위축이 심화됨.
-대뇌백질변성 : 신경 섬유의 집합이자,
뇌영역간에 정보를 전달하는
뇌의 백색질(White matter)에 손상이 발생한 상태로,
뇌 미세혈관에 문제가 있을 경우
혈액흐름이나 산소공급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서 나타남.
국립보건연구원은 노인성 치매 환자 코호트분석을 통해
혈당 변동성과 혈압변동성이
알츠하이머병 지표와 혈관성치매 지표에
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.
이 연구는,
치매환자가 아닌 정상 및 경도인지장애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,
혈당 변동성이 증가할수록 심한 백질변성이 나타나고,
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이 증가하였다.
혈압(수축기 및 이완기)의 변동성이 클수록
타우 축적이 증가하고,
이완기혈압의 변동성이 클수록 뇌 해마 위축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.
-혈당 변동성 : 혈중 포도당 농도의 변화,
혈당 변화의 폭과 변화에 소요된 시간으로 결정됨.
변동성이 크면 혈당 조절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함.
-혈압변동성 : 혈압의 변화, 외부적 요인(운동, 날씨 등)의 변화 없이
혈압이 오르락 내리락하는 경우 변동성 혈압으로 의심할 수 있음.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 자영업자 사업체수 확인하기 (3) 2024.09.30 혈우병 유전자치료제 국내 허가 (1) 2024.09.27 2025년도 건강보험료율 (3) 2024.09.14 중고차대출 계약서 확인해야 할 것 (1) 2024.09.12 남미 오로푸치열 발생 확산 (1) 2024.09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