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쌀값폭등 기후변화주식 2025. 5. 11. 11:48
쌀값폭등 기후변화
기후변화로 벼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
벼 흰잎마름병, 키다리병 등의 발생량도 증가하여
품질과 수량 감소의 원인
벼 흰잎마름병:
병원균인 잔토모나스 오리제(Xanthomonas oryzae pv. oryzae)가
일으키는 세균병으로,
국내 피해 면적 2022년 2,332ha에서 2023년 8,619ha로 3.7배 급증
벼 잎 가장자리가 노랗게 변하면서 말라 벼 생산에 큰 피해
벼 키다리병:
병원균 푸사리움 푸지쿠로이(Fusarium fujikuroi)가 일으키는 곰팡이병
모판 키다리병 발병현황은
2021년 1.2%, 2022년 2.8%, 2023년 2.5%로
벼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수확량 감소
육묘기에 키가 정상보다 1.5배 이상 웃자라는 증상을 보인 후
1~2주 이내에 위축되면서 말라 죽는다.
본답 이식 직후부터 벼 잎이 담황색으로 변하고,
초기 길이가 건강한 벼의 2배까지 길어질 정도로 웃자란다.
농촌진흥청은
벼 흰잎마름병과 키다리병 2가지 병 저항성을
동시에 조절하는 벼 유전자를 발굴했다.
연구진은 유전체 빅데이터를 활용해
병이 발생하는 조건에서 작물이 저항성을 갖게 하는
유전자 후보를 선발했다.
이중 벼 흰잎마름병과 키다리병 2종류의 병원균에 모두
저항성 증진 효과를 보인 OsWRKY65 유전자를 발굴했다.
이 유전자가 식물 방어와 관련 있는
자스민산 유전자와 피알(PR) 유전자를 증가시키고,
병 발생과 관련 있는 지베렐린과 OsSWEET유전자들의 기능을 감소시켜
병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원리도 밝혀냈다.
-자스민산(JA): 곤충, 균류 병원체에 대한 식물방어를 활성화하며
꽃밥과 꽃가루의 발달을 포함하는 식물 생장을 조절
-피알(PR): 병원균 공격 시 식물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병 저항성에 관여
-지베렐린(GA): 줄기 신장, 발아, 휴면, 꽃의 개화 및 성장, 잎과 과일의 노화 등
식물 생장을 조절하는 식물호르몬
-OsSWEET: 식물에서 설탕(Sucrose) 수송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병 감수성에 관여'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킨슨병 레드튤립 캠페인 (0) 2025.05.07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비교 (0) 2025.01.31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 (0) 2025.01.29 국민연금, 기초연금 2.3% 더 받는다 (0) 2025.01.14 담수 돌말류, 약물전달체로 활용 (0) 2025.01.10